본문 바로가기

L4 스위치/L7 스위치/멀티레이어 스위치 흔히들 스위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L2/L3스위치이다. L2 스위치는 일반적인 스위치를 뜻하며, L3 스위치는 라우팅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위치를 뜻한다. 그러나 현업에서는 L2/L3외에도 L4라던가 혹은 L7 스위치까지 사용하고 있다. 처음 L4/L7 스위치라는 말을 들었을 때 무슨 용도인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L4 스위치면 포트번호로 스위칭을 하는 것인가? 그게 가능한가? 도대체 무슨 역할이지? 머릿 속에서 여러 생각이 떠올랐던 생각이 난다. 기존 L2스위치는 L2 주소만을 가지고 스위칭을 했고 L3 스위치는 L3 주소만을 가지고 스위칭을 했다. 그러나 L4스위치는 L4 주소만이 아닌 L3 주소 + L4 주소(포트번호)를 통해 스위칭을 한다. 포트번호를 통해 스위칭한다는 것은 보다 더 세밀.. 더보기
Path Control Floating Routing- 일반적으로 Static Routing을 사용하는 경우, 목적지로 향하는 경로의 장애가 발생시 자동으로 경로를 우회할 수 없다.- 이 경우 관리자가 직접 AD 값을 조정하여 Backup Path를 설정하는 Floating Routing을 사용하면 우회가 가능하다.- 평소에는 AD 값이 낮은 Best Path를 이용하다 Best Path에 장애가 발생시 자동으로 Backup Path를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도에서 R2의 LoopBack인 2.2.2.2로 가는 경로를 R1의 테이블을 확인해보면 F0/0을 통해서 가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하자.R1(config)#ip route 2.2.2.0 255.255.25.. 더보기
재분배(Redistribution) 재분배(Redistribute)란? - 서로 다른 AS간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방법- 보통 복수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서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할때 사용한다.- 각 Routing Protocol마다 재분배하는 명령어의 차이가 존재한다. 위와 같은 구성도에서 각 프로토콜의 명령어 차이점을 알아보자. 우선 R2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면세가지 모두 구동중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1. RIP-RIP은 임의의 metric을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재분배를 한다.R2(config)#router ripR2(config-router)#redistribute eigrp 1 metric 10R2(config-router)#redistribute ospf 1 metric 10각각 EIGRP와 OSPF를 metric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