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에 관해 STP는 스위치에서 루프를 방지하는 프로토콜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스위치를 루프 구조(동그란 구조)로 연결하면 여러가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우선 대역이 분할되지 않는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를 받았을 시 브로드캐스트가 반복해서 도는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일어날 수 있음. 또한 모르는 목적지 주소를 받으면 flooding 하는 스위치 특성으로 해당 목적지는 여러곳에서 중복된 프레임을 받을 수 있음. 또한 스위치 입장에서도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같은 출발지 mac-addr 프레임을 받을 수 있음. 이처럼 위의 여러가지 이유들로 STP를 사용한다. STP는 스위치끼리 서로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을 사용해 구조를 파악하고 루프(스패닝) 구조를.. 더보기 스위치/허브 구조적 차이 허브는 1계층 장비이며, 스위치는 2계층의 장비이다. 허브는 단순히 멀티포트 리피터의 기능만을 수행하며, 스위치는 콜리젼 도메인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즉 허브는 연결된 장비끼리 동시에 통신이 불가능하지만 스위치는 가능하다. 그 이유는 스위치가 가지고 있는 두가지 기능 때문이다. 대부분의 IT 장비에는 메모리, 포트, CPU 등이 있고 이것을 연결해주는 통신선이 있다. 이것을 버스라고 하는데, 허브의 경우 단일 버스로 되어있어 동시에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스위치 내부에는 다수의 통신선이 서로 얽혀있는 멀티버스의 구조이다. 그렇기에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만일 동일한 통신선을 통해 프레임이 와도 스위치는 프레임을 잠시 대기시키는 버퍼링 기능 또한 제공한다. 멀티버스와 버퍼링 이 두가지 기능을 통해 .. 더보기 TCP/UDP 알아보기 TCP/UDP는 대표적인 4계층 프로토콜로서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은 TCP/UDP에 관한 여러가지 개념과 차이점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해당 정리는 TCP 헤더를 기준으로 하여 진행할 생각이다. 우선 TCP와 UD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분할 여부이다. TCP는 MSS(Maximum Segment Size)에 따라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며, 이 때 분할한 각각의 데이터들을 Segment라고 부른다. TCP 헤더에 존재하는 Sequence Number는 분할한 데이터의 순서번호를 지정하기 위해 존재한다. 또한 TCP 헤더의 Acknowledgement Number는 TCP를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로 만들어준다. 특정 데이터를 받았을 때 TCP는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2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