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본적인 패킷트레이서 사용법 패킷트레이서는 cisco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이다.패킷트레이서를 통해 간단한 네트워크 구축과 구성에 대해 실습 할 예정이다. 1. 패킷트레이서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환경이 나온다. 2. 오른쪽 아래에 여러가지 아이콘들이 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장비에 해당하는 여러 모델들이 나온다. 3. 원하는 장비를 드래그앤드롭해서 가져온다.(본인 같은 경우는 2621XM모델을 가져왔다.)후에 더블클릭하면 모듈장착화면이 나온다. 큰 구멍 한개와 작은 구멍 2개가 있을 것이다. 큰 구멍에는 NM으로 시작하는 모듈을 드래그앤드롭 하고 작은 구멍에는 WIC으로 시작하는 모듈을 드래그앤드롭하자.그 외에도 여러가지 모듈들이 있는데 대충 크게에 맞춰서 껴보면 될 것이다.모듈의 핵심은 뒤의 숫자와 알파벳이다.뒤의 숫자는 포트.. 더보기
Network Devices HUB(1계층)허브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생각하면된다. (이때 포트는 서비스 포트가 아닌 물리적인 포트, 케이블의 연결지점)즉 여러가지 호스트, 서버들을 연결해주는 포트의 역할과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리피터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된다.허브는 half duplex 방식( 한 사람이 데이터 전송 시 나머지 사람들은 대기해야한다.)을 사용하며 만약 허브의 한 쪽 포트에서 데이터가 들어오면 들어온 포트 외에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flooding이라 한다. SWITCH(2계층)스위치도 역시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다.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위치는 Full duplex 방식이라는 것이다. 허브는 한쪽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면 나머지 쪽은 네트워크를 .. 더보기
Transport Layer(4계층)-서비스/TCP/UDP 포트4계층은 서비스를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이때 서비스 구분을 하기위해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포트번호는 0번부터 65535번까지 존재하며,맨 앞 0 ~1023번 포트를 well known port라고 한다.well known 포트는 대중화된 서비스를 위해 예약된 포트번호이며HTTP -> 80, TELNET -> 23, SSH -> 22 , HTTPS -> 443과 같이 대중적인 서비스들을 미리 번호로 예약해놓은 것이다. 해당 서비스들은 Windows에서는 C:\windows\system32\drives\etc\services 에서 확인이 가능하며Linux에서는 /etc/services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1024번부터 49151번 포트는 registered 포트라고 한다. 해당 포트들은 시스템(O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