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기초실습

네트워크 기본적인 패킷트레이서 사용법

패킷트레이서는 cisco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이다.

패킷트레이서를 통해 간단한 네트워크 구축과 구성에 대해 실습 할 예정이다.


1. 패킷트레이서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환경이 나온다.


2. 오른쪽 아래에 여러가지 아이콘들이 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장비에 해당하는 여러 모델들이 나온다.


3. 원하는 장비를 드래그앤드롭해서 가져온다.(본인 같은 경우는 2621XM모델을 가져왔다.)

후에 더블클릭하면 모듈장착화면이 나온다. 큰 구멍 한개와 작은 구멍 2개가 있을 것이다. 큰 구멍에는 NM으로 시작하는 모듈을 드래그앤드롭 하고 작은 구멍에는 WIC으로 시작하는 모듈을 드래그앤드롭하자.

그 외에도 여러가지 모듈들이 있는데 대충 크게에 맞춰서 껴보면 될 것이다.

모듈의 핵심은 뒤의 숫자와 알파벳이다.

뒤의 숫자는 포트의 개수를 나타내고 알파뱃은 포트 종류를 나타낸다.

1E -> 이더넷 포트 1개

1FE -> fast 이더넷 포트 1개

1T -> 시리얼 포트 1개

이런 식으로 구성된다.



4. 모듈을 바로 장착하면 에러가 난다. 장착하기 전에 항상 전원 버튼을 클릭하여 장비를 꺼주자.


5. 후에 드래그앤드롭으로 WIC-2T 모델을 장착하였다. 2T 모델은 시리얼포트 2개를 뜻한다.




6. 라우터 3개를 놓고 모두 WIC-2T를 장착 시켜준다. 라우터 아이콘 옆의 스위치를 클릭해서 아무거나 하나를 가져와 위와 같이 구성해준다.


7. 라우터와 라우터가 시리얼 포트로 연결되려면 Serial DCE라는 케이블을 선택해서 연결한다.(케이블 아이콘은 라우터 아이콘 옆 쪽의 번개모양이다.)




8. 라우터(서버, 컴퓨터)와 스위치가 연결되려면 위와 같이 straight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9. 라우터(서버,컴퓨터)와 라우터(서버,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cross over cable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스위치와 스위치, 허브와 허브 등 모든 같은 장비 연결인 경우에도 모두 cross over cable을 사용한다.



만약 실수를 하여 삭제를 하고 싶으면 del 키를 누른다. 누르면 커서모양이 바뀐다. 그 상태로 원하는 곳을 클릭하면 된다. 다시 원래 아이콘 모양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ESC를 누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