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기초실습

네트워크 기본 기능-시리얼 인터페이스 설정/CDP/TELNET/백업 복사

serial interface

serial interface의 경우 이더넷을 설정할 때보다 약간의 옵션이 추가된다.


1. 각 라우터에 WIC-1T 모듈은 추가한 후

2. serial DCE 케이블을 클릭 -> 커서가 바뀐다. -> 그대로 라우터를 클릭 -> serial port를 선택해준다.


다음과 같이 구성해준 후 망구성을 해준다. 우선 저번 시간에 배운 기본적인 설정을 입력해준다.


enable

config terminal

enable password cisco

no ip domain-lookup

line console 0

exec-timeout 0 0

logging synchronous

exit





위의 설정들을 복사 후(ctrl + c)  -->  cli 창에서 paste를 눌러주면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해당 환경은 두대의 router를 구동한다. 두대의 라우터 모두 프롬프트가 router로 되어있어 구분하기 쉽지 않다. 프롬프트를 바꿔주자.



Router(config)#hostname R1

R1(config)#

hostname 원하는 이름 을 입력하면 프롬프트가 해당 형태로 바뀌게 된다. 하나는 R1, 나머지 하나는 R2로 바꿔준다.


이제 서로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해 serial을 설정해준다.


serial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R1(config)#interface serial0/0

serial 인터페이스로 들어가서


R1(config-if)#ip address 1.1.1.1 255.255.255.0

이더넷 처럼 ip를 지정해준다.


R1(config-if)#encapsulation ppp

시리얼에서는 L2 프로토콜도 다음과 같이 지정해줄 수 있다.



*참고로 L2 프로토콜은

encapsulation ppp

encapsulation hdlc

encapsulation frame-relay

세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알맞게 지정을 해준다.



R1(config-if)#bandwidth 64

대역폭을 지정해준다. 단위는 KB


R1(config-if)#clock rate 64000

동기화 신호도 지정 할 수 있다. 단위는 bps이다. 대역폭은 한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량을 의미한다. 동기화 신호는 당연히 대역폭보다 단위가 낮거나 같아야한다.

clock rate는  DCE cable를 연결한 라우터에서만 지정해주면된다.(뭔지 모르겠으면 둘다 지정해보자. 안되는 쪽이 있을 것이다.)


R1(config-if)#no shutdown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켜준다.


명령어는 길게 쓰면 오류가 날 확률이 높아 약어로도 쓰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R2에 지정해 줄 명령어를 약어로 작성한 것이다.


R2(config)#int s0/0

R2(config-if)#encapsulation ppp

R2(config-if)#ip addr 1.1.1.2 255.255.255.0

R2(config-if)#bandwidth 64

R2(config-if)#no shutdown



R2 또한 clock rate를 제외한 모든 설정이 R1과 유사하다.


R2(config)#end

end 명령어는 바로 관리자 모드로 돌아가는 명령어이다.


R2#ping 1.1.1.2

관리자모드로 돌아가 ping과

R2#traceroute 1.1.1.2

traceroute를 상대방 ip로 쏴보자.


ping은 !!!!!가 떠야 통신이 된 것이고

traceroute는 ip 경로들(여기서는 1.1.1.1r과 1,1,1,2)이 쭉 뜬다면 통신이 된 것이다.


IP가 제대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가 있다.


R2#show ip interface brief

해당 명령어를 입력 시 각 interface의 IP 상황을 볼 수 있다.





Interface: 장비에 연결되어있는 Interface 종류를 나타낸다.

IP-address: 할당되어있는 IP 주소를 나타낸다. (unassigned -> 할당되지 않음)

Status: 1계층의 상태를 나타낸다.(administrarively down -> shutdownm 되어있는 상태, 관리자가 no shut 명령어로 활성화 시켜 줄 수 있다.

                  down       -> 물리 계층의 어딘가가 문제인 상태(케이블이 빠져있다거나 등등)

Protocol: 2계층의 상태를 나타낸다.(down -> 2계층의 어딘가가 문제인 상태이다.(누구는 encapsulation ppp 인데 누구는 encapsulation frame-relay                                                  같은 경우)







CDP(Cisco Discovery Protocol)

cdp는 이웃장비(바로 옆에 붙어 있는 장비)의 정보를 알아내는 프로토콜이다.

시스코 장비들 끼리 서로의 정보를 알아내는데 사용한다.


다음과 같이 망을 구성해준다. 시리얼 포트가 2개이므로 모듈을(WIC-2T)를 사용한다.


처음 라우터부터 각 각 host name을 R1, R2, R3라 했을 때

ip는 다음과 같다.



R1:

serial 0/0 -> 1.1.12.1/24


R2: 

serial 0/0 -> 1.1.12.2/24

serial 0/1 -> 1.1.23.2/24


R3: 1.1.1.3/24

serial 0/1 -> 1.1.23.3/24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각각의 라우터에


enable

config terminal

enable password cisco

no ip domain-lookup

line console 0

exec-timeout 0 0

logging synchronous

exit


기본설정 사항을 paste 해주고

각각의 IP를

R1

interface serial 0/0
ip address 1.1.12.1 255.255.255.0
no shutdown


R2

interface serial 0/0
ip address 1.1.12.2 255.255.255.0
no shutdown

interface serial 0/1
ip address 1.1.23.2 255.255.255.0
no shutdown


R3

interface serial 0/1
ip address 1.1.23.3 255.255.255.0
no shutdown

다음과 같이 할당해준다. 



이제 cdp를 동작시켜보자

cdp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시킬 수도 있고 전체 장비에 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


R1(config)#cdp run
전체 장비 활성화는 
config 모드에서 실행한다.

R1(config)#int s0/0

R1(config-if)#cdp enable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특정 인터페이스 설정 모드에서 run이 아닌 enable을 통해 활성화 시킨다.


R2#show cdp neighbor

cdp를 통해 이웃장비를 조회하려면 해당 명령어를 통해 조회한다.




조회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Devide ID는 각각의 장비에 지정해준 호스트 네임이 생성된다. 본인 같은 경우 R1,R2,R3가 출력된다.

Local Intrfce는 각 장비에 연결된 자신의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Holdtme는 장비 연결 대기 시간이며 총 180초가 주어진다. hold time이 0이되면 해당 장비는 cdp 연결이 끊긴다.

capability는 라우터(R) or 스위치(S)를 나타낸다.

platform은 이웃 장비의 모델명을 나타내며

port ID는 연결된 장비의 상대방의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R2#show cdp neighbor detail

show cdp neighbor detail 입력 시 연결 장비의 상세정보를 나타낸다.


cdp는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트래픽을 주고받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장비에 부담이 갈 수 있다. 그렇기에


R2(config)#no cdp run

해당 명령어를 써서  cdp를 중지 시킬 수 있다.


*해당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을 하려면 보통 앞에 no를 붙인다.

no enable secret -> 관리자 비밀번호 없애기

no ip address -> ip 초기화




텔넷


텔넷은 원격지에서 디바이스에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콘솔은 오직 한 사람만 디바이스에 물리적 접근이 가능한 것에 비해

텔넷을 사용하면 원격지에서 여러 사람이 논리적 접근이 가능하다.


R1(config)#line vty 0 4

텔넷의 가상 접속 터미널은 만드는 명령어이다. 가상 터미널은 총 0 ~15번 까지 만들 수 있으며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는 0 ~ 4번까지 5개의 터미널이 만들어진다.



텔넷의 인증 방식은 3가지로 나누어진다.

각각 R1,R2,R3에 세가지 방식으로 만들어 볼 수 있다.


첫째. 무인증방식


R1(config)#line vty 0 4

가상 터미널을 만들고

R1(config-line)#no login

no login 입력 시 무인증으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두번쨰, 비밀번호 인증방식

비밀번호만 인증하는 방식이다.


R2(config)#line vty 0 4

역시 가상 터미널을 만들고

R2(config-line)#password network

비밀번호를 지정해주고

R2(config-line)#login

비밀번호를 활성화 시킨다.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면 telnet 접속 시 비밀번호만 물어본다.


마지막으로 계정인증방식이다.

 

R3(config)#usernam netdream password net1

username으로 id를 password로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R3(config)#line vty 0 4

후에 가상 터미널을 만들고

R3(config-line)#login local

local login 명령어로 활성화 시켜준다.


R1에 원격 접속 시 아무 것도 묻지 않고

R2로 원격 접속 시 비밀번호만 묻고

R3로 접근 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물을 것이다.


텔넷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관리자 모드에서 telnet (상대방 ip) 를 입력해주면 된다.


R1 -> R2 접속

R1#telnet 1.1.12.2

Trying 1.1.12.2 ...Open

User Access Verification

Password:


비밀번호만을 묻는다.



R2 -> R1 접속


R2#telnet 1.1.12.1

Trying 1.1.12.1 ...Open


R1>


바로 접속이 된다.



R2 -> R3 접속


R2#telnet 1.1.23.3

Trying 1.1.23.3 ...Open



User Access Verification


Username: netdream

Password:


아이디와 패스워드 모두를 묻는다.


만약 R1에서 R3로 접속하고 싶으면 어떡할까?

R1은 R3의 주소를 알지를 못한다. 고로 R1 -> R2 -> R3로 두번 telnet을 써야 접속이 가능하다. 


 


RAM과 NVRAM


cisco 장비에는 RAM과 NVRAM이 있다. RAM은 말 그대로 컴퓨터의 RAM과 같으며 NVRAM은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

처음 장비를 켜면 NVRAM에 있는 정보로 해당 장비를 초기화 시킨다. 그 후에 우리가 사용한 명령어들이 RAM에 저장된다.

즉 NVRAM은 초기값이고 RAM은 현재값을 저장하고 있다.

RAM의 가장 큰 특징은 휘발성이다. 즉 장비가 꺼지면 정보가 날라간다.

NVRAM은 이와 반대로 장비가 꺼져도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고 있다.


R1#show startup-config

startup-config is not present

show startup-config 명령어로   NVRAM을 조회 할 수 있다. 아마 위와 같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뜰 것이다. 우리는 초기값을 저장한 적이 없기 떄문이다.


R1#show running-config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우리가 현재 구성했던 ip, telnet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설정했던 네트워크 기본 설정은 전부 다 RAM에 있는 것이다. 문제는 전원이 꺼지면 RAM의 정보가 다 날라간다는 것이다. 장비를 켤 때마다 기본 설정을 다시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그래서 기본 설정 정보를 모두 NVRAM으로 옮길 필요가 있다. 해당 명령어는 copy를 통해서 할 수 있다.


R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copy (복사 대상) (복사 장소)를 통해 RAM에 있는 정보들을 모두 NVRAM으로 옮길 수 있다.

Destination filename [startup-config]?

저장 할 이름을 물어보는데 사실 이름을 바꿀 수 없다. 왜 물어보는지 모르겠다. 그냥 엔터를 누르자.


반대로 현재 명령어가 꼬여서 원래 초기값으로 돌아 갈 때는

R1#copy startup-config running-config

해당 명령어를 사용해서 현재 RAM의 데이터 값을 모두 NVRAM의 값으로 overwrite 할 수 있다.


IOS 백업, 복원


copy를 이용해서 또한 IOS를 백업 복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해당 IOS파일의 이름을 알아야한다. 

IOS 파일을 보는 법은


R1#show flash:


명령어을 통해 가능하다. 해당 명령어의 결과로


System flash directory:

File Length Name/status

3 5571584 c2600-i-mz.122-28.bin

2 28282 sigdef-category.xml

1 227537 sigdef-default.xml

[5827403 bytes used, 58188981 available, 64016384 total]

63488K bytes of processor board System flash (Read/Write)

 

위와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모델명(c2600)으로 시작해서 .bin으로 끝나는 것이 IOS 파일이다.


*IOS 파일의 이름 의미

ex) C2500--js-l-121-3.bin


c2500 -> 모델명

js -> 기업용이라는 의미이다.( 마치 윈도우가 프로페셔널 , 홈에디션 등으로 OS를 나누어놓은것과 비슷하다.)

123 -> main version

-3 -> release version

.bin -> binary 파일의 확장자명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있다.

 version과 같은 것은 OS update를 할 때 꼭 확인해주어야한다. show version 명령어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다.



해당 파일의 이름을 알았으면 IOS를 백업하고 복원 할 수 있는 장소인 서버를 망 구성도에 추가한다.



1. 스위치 아무거나와 end device 아이콘을 클릭 후 서버를 끌어온다.


2. 해당 장비를 모두 스위치에 straigh cable로 연결한다.


3. 각 인터페이들에게 IP를 할당한다. 이때 IP는 

R1 -> 1.1.13.1

서버 -> 1.1.13.2

R3-> 1.1.13.3

로 할당해준다.



.4. 서버의 IP 할당 방법은

서버 더블클릭-Desktop 탭-IP configuration 클릭


5. IP와 서브넷 마스크를 할당해준다.



여기서 서버는 OS를 백업 할 TFTP 서버의 역할을 하게된다.

서버에 IOS를 백업해두고 필요할때마다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백업은

R1#copy flash: tftp:

해당 명령어를 통해 가능하다. flash:(IOS image)를 TFTP 전송을 통해 복사하겠다는 명령어이다.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몇가지 질문이 나온다.


Source filename []?     ->     c2600-i-mz.122-28.bin (show flash를 통해 봐두었던 IOS 이미지파일 이름을 입력하자.)

Address or name of remote host []?    ->    1.1.13.2 (전송 할 서버의 IP를 묻고 있다. 구성해두었던 서버 IP를 입력하자)

Destination filename [c2600-i-mz.122-28.bin]?     ->    backup_IOS (저장 할 이름을 묻고 있다. 임의의 이름으로 저장해두자)



이런 식으로 저장을 마치면 서버를 더블클릭하여 확인 할 수있다.


서버 더블클릭-services tab-TFTP tab에 보면 저장된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복원은 이와 반대로 지정해주면된다.

R1의 이미지를 R3에서 복원할 수 있다.


R3#copy tftp: flash:

반대로 tftp에 있는 이미지를 flash 메모리(IOS 저장소로 생각하면 된다.)로

Address or name of remote host []? 1.1.13.2  (서버 IP 입력)

Source filename []? backup_IOS  (받아올 이미지 이름 입력)

Destination filename [backup_IOS]?  (저장 될 이름 입력)


이와 깉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copy는 이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쓰일 수 있다.


R1에서

copy startup-config tftp:

를 해 R1의 초기 설정 데이터를 보내고


R3에서

copy tftp: startup-config

를 사용하여 R1의 데이터를 자신의 라우터에 그대로 overwrite 할 수 있다. overwrite 시 R1의 IP부터 시작해 모든 설정을 R3가 그대로 물러받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