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프로그래밍-JSP(DB연동) JSP와 DB연동기존의 자바가 그저 데이터를 가져오기만 했다면, JSP를 이용해 DB 연동시 css, html등을 사용하여 꾸민 폼에 데이터를 입력이 가능하다. 간단하게 데이터를 테이블 형식으로 받아와보자. 다음 코드는 scott 계정의 student 테이블을 HTML테이블 형식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다. 학생 신상 명세서 학번이름과목 번호점수 명령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를 수정, 입력하는 것도 비슷하게 진행하면된다.우선 데이터 입력 폼을 만들어본다. 신상 정보 업데이트 입력 폼//updateDate.jsp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한다.NONAMESUBJECT_IDSCORE 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 정보를 입력하면 NO를 기준으로 해당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폼이다. updateData.jsp는..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tomcat 서버 연동, UTF-8 설정,JSP-form ㄴ자바의 대략적인 부분을 확인했으니 JSP로 넘어간다.JSP는 자바계열의 웹프로그래밍이다.HTML,CSS등이 웹을 꾸며준다면. JSP, PHP와 같은 프로그래밍은 뒤쪽에서 웹이 원활하게 돌아가게끔 해주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예를들어 HTML,CSS로 로그인 양식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을 전송하고 전송한 것을 JSP를 통해 DB연동, 비교 등등이 가능하다.JSP를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톰캣서버 연동이 필요하다.우선 http://tomcat.apache.org/ 사이트에서 톰캣 서버를 다운 받자. 버전은 8.5를 기준으로 한다. 1. 이클립스를 EE Developer로 설치한다. 2. windows 탭의 preference-server-runtime Enviroment로 들어가 add를 누른다. 3...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자바(db 연동, STMT, PSTMT) 지난 번을 마지막으로 DB의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금부터는 프로그래밍과 DB의 연동에 관해 공부한다.우선 JAVA와 DB의 연동부터!! 먼저 DB연동 전 간단한 환경 설정부터 해주자.DB 연동다음 경로로 들어가서 ojdbc5.jar를 복사해준다.(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jdbc\lib)jdbc는 자바와 DB를 연결해주는 클래스들의 모임이다.쉽게 말해 자바에서 DB를 연결해줄 수 있도록 하는 확장팩이다.다음 경로로 들어가 붙여넣기 해준다. (C:\Program Files\Java\jre1.8.0_191\lib\ext) 이제 이클립스를 실행하여 DB 연동을 시작해본다.우선 테스트부터 해본다. import java.sql.*; // ->..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equi, non equi, inner) JOIN이란?쉽게 말해 여러 테이블을 조회하는 것!! 이때 기준이 되는 값은 보통 primary key나 foreign key 이다. * primary key -> 기본키란 고유의 값 각 레코드를 구분해주는 기준이 되는 값 ex) 주민번호, ID * foreign key -> 외래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형태로 사용하는 키 설명이 어려우니 실습으로 이해하자!!! Equi 조인Equi 조인이란 select 테이블명.출력하고자 하는 attribute.... from 테이블1, 테이블2 where 조건위와 같은 형태로 테이블을 조회하는 것 hr계정으로 접속해서 departments와 employees 테이블을 조회해보자!! 조회 결과를 보면 둘다 DEPARTMENT_ID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집계함수와 group/정렬) 집계함수 집계함수란? 개수를 세거나, 합계를 구하거나, 평균, 최대/최솟값 등을 구하는 함수. STUDENT_ID STUDENT_NAME STUDENT_SCORE-------------- -------------------- -------------2017112 홍길순 3502017113 김철수 4002017114 김지연 420 netdream 계정에 들어가서 이전에 만든 school table을 다시 불러온다.school table의 내용은 위와 같다. count 함수: 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갯수를 세주는 함수이다. SQL> select count(student_id) from school;student_id의 레코드가 몇개 있는지를 출력하라는 명령어COUNT(STUDENT_ID)---------..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함수, 조건문) ㄴ앞서 oracle에는 기본 계정 hr과 scott 두 가지가 존재한다고 했음.이전에 hr은 alter user hr account unlock; 명령어를 통해 풀어줬음.scott 계정은 해당 방식으로 풀 수 없음.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 경로명으로가서 scott.sql을 우클릭해당 위치를 복사한다.SQL>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rdbms\admin\scott.sql scott.sql을 실행시켜주고SQL>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비밀번호 또한 생성해준다. SQL> connect scott/tiger; dual tableora..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savepoint,column format,연산자,like, is null, rownum) savepoint이전에 배운 rollback 명령어의 단점은 입력했던 모든 명령어가 무위로 돌아간다는 것이다.이때 savepoint를 사용하면 특정 지점을 저장하여 해당 지점으로 되돌릴 수 있다. SQL> savepoint aaa;해당 시점을 aaa라는 변수에 저장해라.SQL> rollback to aaa;만약 되돌리고 싶다면 rollback 명령어로 해당 시점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column format스키마에서 설계된 자리점을 조정하는 명령어이다.문자형은 column [attribute 명] format a(숫자)를 쓰고숫자형은 column [attribute 명] format 9999와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 말이 어려우니 빨리 예시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school table을 조회해본다..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DDL, DML, DCL) oracle DB 구성 DB 구성 명칭과 엑셀 명칭 비교엑셀의 열 -> 컴퓨터에서는 필드 -> DB에서는 attribute엑셀의 행 -> 컴퓨터에서는 레코드 -> DB에서는 tuple 컴퓨터는 필드가 모여 레코드가되고, 레코드가 모여 파일이 되고 파일이 모여 DB가 된다.DB에서는 attribute가 모여 tuple이 되고 tuple이 모여 table이 되며 table이 모여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DB 데이터 형char(8) -> 문자형, 뒤에 8은 길이를 나타낸다.varchar2(8) -> oracle에서 나타내는 가변형 문자형, 뒤에 8은 limit을 뜻한다.numeric(8) -> 정수형numeric(8,2) -> 해당 방식으로 쓰면 앞에있는 8은 길이를 나타내고 뒤에있는 2는 소숫점 자리수를 나타.. 더보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DB(oracle) 기본(계정접속, 계정생성, 권한 부여)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구성 1. DB2. 웹프로그래밍3. 소켓 프로그래밍 DB부터 배운다!!!! DB의 기본부터 배우자. 여기서 DB는 oracle database로 한다.모든 진행은 Run SQL command Line으로 한다.Oracle DB의 기본 1. 관리자로 로그인 SQL> connect /as sysdbaConnected. -> 관리자로 로그인이 되었다.SQL> show user;USER is "SYS"show user; 는 내가 누구인지 보여줘라 who am I 명령어 여기서 user is sys 라는 것은 내가 관리자라는 뜻. 관리자는 사용자에 대한 계정 생성과 권리 부여가 가능하다.*권리의 종류: 계정생성, 잠겨진 계정생성, 비밀번호 변경, 테이블 생성, 뷰 파일 생성 등등 오라클에서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