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좀 더 알아보기-스위치

프레임 구조/맥 구조/캠퍼스 네트워크/스위치 전달 방식

프레임


프레임은 L2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명,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더넷 프레임 -> 일반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프레임, 일반적으로 pc에서 만드는 프레임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preamble  -> 실제로 프레임은 x , 단지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용도

총 8byte로 이루어져있다.

10101010(8bit=1byte)를 7번 반복한다.(7byte)

마지막 1byte에는 10101011로 이 다음부터 프레임이 시작함을 알린다.


destination/source addr, Type -> 실제 header

destination/source addr는 출발지/도착지 맥주소이며

Type은 상위 프로토콜의 값을 알려준다

ex) IPv4->0x0800

     ARP->0x0806


Data -> 실제 data, 46~1500byte까지 전송가능

*MTU-한번에 전송 할 수 있는 데이터량, 프레임의 경우 1500byte가 MTU에 해당


FCS->footer, Trailer라고 한다.(마지막에 오기때문)

프레임의 오류를 확인하기위한 값

프레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을 보내 실제 받은 프레임 크기와 비교해본다.


IEEE 802.3 프레임 -> 스위치에서 만드는 프레임


핑, 웹 접속(pc 생성) -> 이더넷 프레임

STP(스위치 생성) -> IEEE 802.3 프레임




맥주소 표시법


EUI 48(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맥주소)

-총 6byte -> 48bit

-랜카드에 부여되어있는 번호

-상위 24bit는 제조 회사 번호(OUI, Company ID)

-하위 24bit는 제조 번호(extension ID)

즉 하나의 OUI는 2^24개의 Mac addr 사용가능


EUI 64

-64bit

-후에 IPv6와의 연동을 위해 사용

-EUI48 가운에데 FF-EE를 집어넣어 EUI 68로 표-현 가능하다.

ex) 00-00-00-00-00-00 -> 00-00-00-FF-EE-00-00-00


-



campus network 

스위치로만 구성된 네트워크를 campus network라 한다.


ECNM(Enterprise Campus Network) 구성(계층별) ->  기업에서 각각의 스위치마다 역할을 나누어 구성한 캠퍼스 네트워크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access switch-컴퓨터와 직접 연결되어있는 스위치, 포트 개수가 많은 스위치에 access switch 역할부여

distribution switch-다른 access switch들을 연결해주는 스위치, 보통 방화벽이 있는 스위치를 놓고 보안설정을 설정할 때 사용

* access switch와 distribution 스위치의 지역을 묶어서 switch block이라 한다. 

      core switch(back bone switch)-다른 switch block 간의 연결을 해주는 switch, 가장 많은 트래픽을 처리하므로 처리속도, 전달속도가 가장 빠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ECNM은

pc --- access switch ----- distribution switch --------- banckbone switch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데이터 전달 방식

Cut-Through-목적지 address만 확인 후 바로 전송, 처리속도가 우수, 그러나 FCS를 확인 x ->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Store and Forward-프레임을 모두 전송받아 확인 후 다시 전송, 정확성은 높으나 처리속도가 낮다.

Fragment-free-앞에서 64byte까지만을 확인, 여기서 64byte는 프레임의 최소 크기, 위의 두 방식을 합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