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기초이론

Network Devices

HUB(1계층)

허브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생각하면된다. (이때 포트는 서비스 포트가 아닌 물리적인 포트, 케이블의 연결지점)

즉 여러가지 호스트, 서버들을 연결해주는 포트의 역할전기적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리피터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된다.

허브는 half duplex 방식( 한 사람이 데이터 전송 시 나머지 사람들은 대기해야한다.)을 사용하며 만약 허브의 한 쪽 포트에서 데이터가 들어오면 들어온 포트 외에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flooding이라 한다.


SWITCH(2계층)

스위치도 역시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다.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위치는 Full duplex 방식이라는 것이다. 허브는 한쪽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면 나머지 쪽은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치명적 단점이 있다. 이것은 결국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충돌이 일어난다는 단점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는 Full duplex, 즉 동시에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스위치 포트에 연결을 한다면 충돌이 일어날 일이 없다.(당연히 한 포트당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만 연결되어 있다는 조건)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주소를 학습 할 수 있다. 각 각 네트워크 device 들의 MAC 주소가 무엇인지 MAC  table을 만들어 빠르게 전송이 가능하다. 

만약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스위치가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가 어딘지 모른다면 이를 스위치의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 이런 동작을 위의 허브와 같이 flooding이라 한다.

스위치가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알고 있다면, 또 이 목적지 주소가 같은 지역에 있다면 해당 지역 외에 다른 모든 지역에 데이터가 흘러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filtering 이라 한다.

또한 해당 지역 외에 다른 지역에 목적지 주소가 있고 스위치가 목적지 주소가 어디있는지 안다면 스위치는 그대로 목적지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포워딩이라 한다.


ROUTER(3계층)

라우터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아닌 서로 다른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담당한다. 즉 라우터의 포트에 연결된 IP의 네트워크 ID 주소들은 각 포트마다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더넷, 토큰링 등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LAN망을 하나로 묶는데 사용되며, 한 네트워크의 GateWay(네트워크 망의 들어오고 나가는 문) 역할을 한다.

라우터가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라우터는 IP 테이블을 조회해 목적지 주소가 어딨는지 파악 후 이를 전송한다.

만약 라우터가 목적지 주소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 수 없으면, 라우터는 그대로 해당 데이터를 폐기한다.( 라우터는 동일한 네트워크가 아닌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시켜주므로 flooding 시켜서는 안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영향을 받으므로!!)


Collision Domain

collision domain이란 말 그대로 충돌 영역이라는 뜻, 해당 데이터가 충돌이 날 경우(허브로 연결되어 있거나 스위치의 한 포트에 여러 장비들이 물려있는 경우) 충돌을 알리는 재밍 신호가 모든 포트로 전송된다. 이때 재밍신호가 전달되는 영역을 충돌영역이라 한다.

앞서 언급했던 Switch의 filtering기능은 해당 재밍 신호가 다른 포트에 있는 호스트/서버들에게 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Switch는  해당 기능을 통해 Collision Domain을 분할한다.


Broadcast Domain

Brodacast는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모든 장비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Broadcast Domain은 말 그대로 Broadcast가 전달되는 영역을 뜻한다.

허브는 어떤 data가 들어오든지 간에 flooding한다. 따라서 broadcast와 일반 데이터 간에 동작면에서 차이점이 없다.

스위치는 broadcast data를 받으면 바로 flooding 한다.(스위치는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 = broadcast는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모든 장비들에게 데이터 전송) 이것이 스위치의 입장에서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 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스위치로만 구성한다면 브로드 캐스트 영역은 자연스럽게 커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라우터는 각 포트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ID를 가지고 있다. 즉 다른 네트워크 대역이므로 broadcast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영역(Broadcast Domain)을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스위치와 라우터 하드웨어 차이


1. Switch는 일반적으로 포트 수가 매우 많다. 요즘 허브를 사용하지 않기에 스위치가 멀티포트의 역할을 대신한다. 즉, 각 호스트 마다 각 스위치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에 수가 매우 많다.

반면 라우터는 각 포트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을 담당하므로 상대적으로 포트 수가 적다.


2. 라우터는 사용자가 직접 초기구성을 설정하며 장비에 on/off버튼이 있다. 스위치의 경우 on/off 버튼이 없으며 초기 설정이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다.


3. 이더넷 방식은 근거리 통신이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을 담당하는 스위치의 경우 이더넷 포트만 장착해도 상관 없다. 따라서 이더넷 포트만 장착된 고정형으로 나온다.

반면에 라우터는 이더넷 통신(내부망과 라우터 사이의 연결)에도 사용되며 장거리를 연결(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serial 통신에도 사용한다. 따라서 이더넷 포트 뿐 아니라 serial 포트 또한 필요하다. 그래서 원하는 slot을 추가해서 사용하는 확장형 장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slot은 크기에 따라 WIC 슬롯과 NM슬롯으로 구분한다. WIC 슬롯은 주로 시리얼 포트를 가지고 있고 크기가 작다, NM의 경우 주로 이더넷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가 크다.

  ex) NM-5E -> 이더넷 포트를 5개 가지고 있는 크기가 큰 슬롯

 WIC-4T -> 시리얼 포트를 4개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은 슬롯


이더넷 포트와 시리얼 포트를 구분하는 이유는 연결되는 케이블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더넷 포트는 우리가 앞서 배운 UTP 케이블을 연결하는 포트를 뜻한다. 

반면 시리얼 포트는 DTE와 DCE로 나누어져 있는 케이블과 호환되며, 주로 라우터와 모뎀사이 혹은 라우터와 라우터 사이를 연결할 떄 사용한다.


*DTE는 앞서 배운 동기화 신호(clock signal)을 주는쪽이며 DCE는 받는 쪽이다. 모뎀과 라우터의 연결일 경우 라우터에 DTE, 모뎀에 DCE를 연결한다.


*모뎀: modulation and demodulation(복조와 변조)의 준어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보다 더 멀리간다. 장거리 통신을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 장비가 모뎀이다.


IOS(Internetworking Operating System)

IOS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뜻한다. 각 장비의 버전과 호환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가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인 CLI(Command Line Interface)이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며 라우터나 스위치의 버전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이 상이하다.


*IOS의 CLI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다양한 help 기능을 제공한다.(?를 입력 시 명령어 조회 가능, error 메시지 제공, history 기능) 등등


  

네트워크 장비 접근 방법 두 가지

1. console 포트를 통한 접근(물리적 접근): 주로 초기 설정을 잡아 줄 때 접근(IP 등등), 장비의 console 포트와 직접 연결하기때문에 보안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물리적인 보안이 이미 되어있다.)


2 원격 액세스(논리적 접근): ssh, telnet을 통한 접근, 초기설정을 완료한 후 보통 IP를 기반으로 접근한다.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므로 보안 설정이 필요하다.